실시간뉴스
-->
폐지수집 어르신 수입 월 10만원 미만 ‘51.9%’... 서울시 지원대책 마련
폐지수집 어르신 수입 월 10만원 미만 ‘51.9%’... 서울시 지원대책 마련
  • 윤종철 기자
  • 승인 2018.04.10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강타임즈 윤종철 기자] 경제적 어려움으로 폐지수집에 의존하고 있는 어르신들의 대다수가 비수급 자격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어르신들의 절반이상은 월 10만원에도 미치지 않았으며 이마저도 중국의 폐기물 수입 거부로 얼마 안 되는 수입까지 줄어드는 아픔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의료비는 물론 식비도 해결하기 힘든 상황인 셈이다.

이에 서울시가 지원대책을 마련해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생계 보호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 구룡마을 인근 양재대로에서 한 폐지 수집 할머니가 리어카를 끌고 위험천만하게 도로를 걷자 순찰 중이던 경찰관이 보호하며 함께 걷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 구룡마을 인근 양재대로에서 한 폐지 수집 할머니가 리어카를 끌고 위험천만하게 도로를 걷자 순찰 중이던 경찰관이 보호하며 함께 걷고 있다. (사진=뉴시스)

앞서 시는 지난해 9월 25개 자치구에서 활동하는 만 65세 이상의 폐지수집 어르신들을 전수조사 한 바 있다.

동주민센터에서 재활용수집업체를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조사를 통한 총 2417명의 폐지수집 어르신 설문 결과 만 76세 이상이 74.5%의 비율을 차지했다.

이 중 기초생활 수급자의 비율은 35%로 나머지 어르신은 비수급 자격으로 폐지 수집에 의존하고 있었다.

특히 폐지수집 어르신의 50%는 1인 가구였으며 월 10만원 미만의 수입은 51.9%에 달했다.

이에 먼저 시는 어르신의 건강과 적정 소득을 고려해 취약계층 말벗활동(노노케어), 공공시설 봉사활동 등 노동강도가 낮은 타 일자리 사업 참여를 유도하며 건강과 안정적 소득을 모두 지원키로 했다.

폐지수집 관련 시장형 공공 일자리사업을 확대해 지난해 4개구 289명에게 제공된 일자리를 올해 7개구 537명에게 제공한다.

사업단 소속으로서 안정적인 폐지 수급은 물론 판로 확보로 수익금 외에도 월 최대 22만 원의 보조금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생계 부문에서는 매월 긴급복지 발굴 대상에 동주민센터에서 관리하는 폐지수집 어르신을 우선 검토해 생계 위기 상황에 놓인 어르신에게 특별 지원으로 생계비와 의료비 및 주거비를 지급하기로 했다.

1차적으로 소득 재산조회와 2차 사례 회의를 거쳐 사각지대에 놓인 어르신을 최대한 선정할 예정으로 위기 사례에 따라 생계비와 의료비, 주거비를 지급할 계획이다.

생계비는 1인 가구 기준 3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의료비와 주거비는 최대 100만원을 지급한다.

이와 함께 매년 6개월 간 민간 기업의 후원을 받아 월 1회 3~4만원 상당의 식료품과 생활용품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1인 가구의 폐지수집 어르신이 50%에 달함에 따라 주 3회 이상의 정기적인 안전 확인 서비스도 실시키로 했다.

정기적 안전확인 서비스는 노인돌봄기본서비스로서 독거노인생활관리사 가 주 3회 이상 안전 확인은 물론 생활교육 등을 실시하며 어르신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치구 별 1곳 씩 총 25곳(노인복지관 19, 노인돌봄종합센터 6)이 어르신 안전확인 서비스 거점으로 사업을 수행하며 관리사가 직접 파견되어 독거 폐지수집 어르신의 안부를 묻고 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충족하기로 했다.

서울시어르신상담센터에서는 폐지수집 어르신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우울증 등의 해소를 위하여 심리상담과 치료를 병행 실시한다.

독거노인생활관리사 의 방문과 상담을 통해 심리상담이 필요한 경우는 센터와 연계할 계획이다.

주택 노후화와 임대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에게는 집수리 서비스와 주택바우처(임대료 보조) 사업도 진행한다.

‘희망의 집수리 사업’과 연계해 총 300가구를 지원할 예정이며 소득 조회 및 현장 확인을 통한 주택바우처 사업도 853명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김인철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어르신이 생계 곤란으로 안전 사각지대인 폐지수집에 나서는 현실은 고령사회의 어두운 단면”이라며 “폐지를 줍지 않아도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한 거시적인 지원으로 어르신이 ‘거리가 아닌 일상’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