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국감] 생리대 인증마크 관리 필요... 민간 인증 아닌 객관적 기준 마련해야
[국감] 생리대 인증마크 관리 필요... 민간 인증 아닌 객관적 기준 마련해야
  • 이설아 기자
  • 승인 2019.10.09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업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발급받는 생리대 인증마크
안전한 생리대 찾는 소비자들에게 마케팅 수단 전락 우려
온라인상 허위‧과장광고 2016년에 비해 월 평균 96배 증가

[한강타임즈 이설아 기자] #사례1. 직장인 A씨는 급히 편의점을 찾아 생리대를 골랐다. 생리대마다 포장지에 표기된 각종 인증마크들을 보며 어떤 의미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가장 민감한 신체부위에 닿는 제품인 만큼 일단 인증마크가 많으면서, 비싼 제품을 믿고 골랐다.

#사례2. 평소 국내 생리대를 사용하던 B씨는 해외 생리대를 사기 위해 직구를 결심했다. C사의 생리대는 유기농‧친환경으로 입소문을 타서 국내 매장에서는 품절이 빈번했다. 국내 제품은 유해성 논란 이후 믿음을 갖기 어려웠고, 안전한 생리대를 고르기 위해 번거롭더라도 가장 좋은 제품을 고르기로 했다.

2017년 생리대 유해성 논란이 일어난 이후 안전한 생리대를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선택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유기농‧친환경 인증마크에 대한 관리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마트 생리대 매대. 기사와는 관련 없다. (사진=뉴시스)
마트 생리대 매대. 기사와는 관련 없다. (사진=뉴시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외 업체별 생리대 생산 및 수입 실적 상위 10개 업체들 중 친환경‧유기농 생리대를 주력으로 삼는 곳이 강세를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해외 제품 수입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 3년간 국내 생산 상위 업체 10개의 총 실적은 2016년 22% 감소하고, 해외 수입 상위 10개 업체의 총 실적은 43%증가했다. 특히 해외 생산 업체의 경우, 2018년 상위 10개 업체 순위에 2곳이 새로이 등장하고, 특정 업체의 생산량이 급상승했는데 친환경‧유기농 제품으로 크게 주목을 받는 업체들이었다.

문제는 생리대 포장지에 기재되는 유기농‧친환경 인증마크들은 공인기관이 아닌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져 인증마크가 제품의 효능을 증명하는지, 실제로 마크를 발급받았는지 그 진위여부를 소비자가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2017년 유해성분으로 생리대 파동의 원인이 되었던 제품도 2013년 미국 유기농교역협회(OE100)라는 민간기관에서 친환경 인증을 받았던 제품이었다.

또한 인증마크를 부착한 제품들은 비용을 들여 마크를 획득한 만큼, 일반 생리대에 비해 고가일 수밖에 없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 몫으로 돌아간다. 실제로 개당 생리대 평균 가격은 331원이나 친환경‧유기농 인증마크가 부착된 프리미엄 제품들은 개당 500~800원에 이른다. 한 달 소비가격으로 따지면 일반 생리대의 경우 1만 4천원이지만, 안전하다고 믿는 친환경‧유기농 제품을 택하는 순간 2만~2만 4천원의 비용을 지불하며 일반 생리대에 비해 42%~64% 높은 가격을 부담하게 되는 것이다.

포장지에 기재된 인증마크가 어떤 의미인지, 어떤 신뢰도를 가지고 획득된 것인지 소비자들은 확인하기가 어렵다. 고작 신문기사나, 포털 사이트의 블로그에서 설명한 내용들로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정식 인증 마크를 사용해도 제품 효능이 과장되게 표현될 소지도 다분하다. 특정 소재에만 부여된 마크임에도 제품 전체에 사용된 것으로 소비자들에게 오인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생리대 탑 시트에만 순면 소재를 이용하거나 코튼 마크 인증을 받았음에도, 포장지만 보면 생리대의 흡수체나 전 제품에 해당하는 것처럼 오해하기 쉽다.

관련해서 허위‧과장 광고 적발 건수도 급증했다. 진선미 의원실이 식약처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에는 고작 1건에 불과했던 온라인상 생리대 허위‧과장 광고는 꾸준히 증가해 2019년 9월까지는 총 869건, 월 평균 96건에 육박한다. 2018년, 2019년 오프라인에서 적발한 제품 표시 상 허위‧과장광고는 총 7건이었다. 특히 2019년에 온라인으로 적발한 사이트들은 총 1644건 중 869건으로 53%에 해당한다. 온‧오프라인 모두 생리대의 안전성을 강조하며 제조방법‧원재료‧효능에 관한 거짓‧과장광고가 문제됐다.

인증마크로 과도한 마케팅이 이루어질 경우, 국내 중소기업들은 마크 획득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 입지가 좁아질 우려도 있다. 또한 업체들의 불필요한 인증마크 남용으로 소비자의 가격부담만 가중될 소지도 크다.

이와 관련해 진선미 의원은 “민간기관에서 받은 인증마크들 때문에 터무니없이 제품 가격이 비싸지거나 효능에 관해 소비자들이 오해해선 안 될 것”이라며 “식약처에서 범람하는 인증마크와 관련해 현황을 파악하고 적어도 소비자들에게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관련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포장지에 기재된 정보들이 과장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인증마크를 과도한 마케팅 수단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닌지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진 의원의 지적에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소비자들이 안전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져가며 관련 문제들이 생기고 있다”며 “식약처에서도 꼼꼼하게 생리대의 안전성을 챙기고, 소비자들에게 품질 좋고 가격도 저렴한 생리대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한강타임즈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정기후원인이 되어주세요.

매체명 : 한강타임즈
연락처 : 02-777-0003
은행계좌 : 우리은행 1005-702-873401
예금주명 : 주식회사 한강미디어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