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여권, 사수파-신당파 대립
당분열 초읽기
여권, 사수파-신당파 대립
당분열 초읽기
  • 정기안 기자
  • 승인 2007.01.21 0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 일, 법원 우리당 당헌 개정 '효력정지'
전당대회 개최 불투명, 선도탈당론 급물살
법원은 지난 19일 열린우리당 기간당원 11명이 낸 '당헌개정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 들렸다. 이로써 기간당원제를 폐지, 기초당원제를 도입하려는 내용의 당헌개정이 무효화 됨에 따라 개정 당헌을 전제로 내달 14일 전당대회를 준비하던  열린우리당측은 통합신당자체가 준비도 못한 상태에서 물거품으로 사라지게 될 상황이 되었다.  이에 김근태 의장은 19일 열린 긴급비대위에서 법원의 '효력정지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밝혔으나 일부 의원들의 강력한 만류로 일단 사퇴의사를 거둬들였다.  
 
▲     © 한강타임즈

 
2.14 전당대회 불투명

사수파와 신당파의 당헌개정에 대한 논란으로  당헌개정 효력정지 결정되어 2.14 전당대회 개최 자체가 불투명하게 되었다. 이에 비대위측은 20일 4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법원측이 '당헌개정안 효력정지'결정을 내린 것에 관하여 오는 29일 중앙위원회를 소집하여 기초당원제에 관한 당헌개정을 재추진키로 결정하였다. 이는 중앙위원 68명 가운데 당헌개정에 필요한인원인 46명을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 끝에 내려진 결론이다. 하지만 전당대회 및 중앙위원회가 사수파의 강한 반발로 인하여 쉽게 개최되기는 힘들 상황으로 보여진다.  이에 기간당원제를 고집하며 전당대회를 치를 것을 주장하는 당사수파와 당헌개정을 통해 기초당원제를 도입 새로운 당헌을 전제로 전당대회를 치루고자하는 통합신당파 양측간에 심한 격돌이 예상되어진다.

 
 선도 탈당론 급물살

 침체된 당내에 새로운 활기를 넣고 대선을 위해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기 위한 전당대회마저 당헌개정 효력정지로 불투명해지자 일부 의원들은 탈당을 감행하여, 고건 전 총리 대선 불출마로 인하여 주춤했던 선도탈당론이 급속한 급물살을 타고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선도탈당론측은 이제 새로운 신당논의가 당내에서는 진행되기 어렵다고 판단 외부 연대가능한 세력과 힘을 모아 새로운 통합신당을 창단하겠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가운데 당내에서는 40~50명 정도가 탈당을 검토 중에 있으며 조만간 탈당의사를 밝힐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이중 선도탈당에 첫 주자는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염동연, 천정배 의원이 될 가능성을 높이 평가 하고 있다. 또한 임종석, 최용구, 양형일 의원들도 선도탈당론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답변과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정동영 전 의장은 21일 지지모임인 정통 출범식에 앞서 "비대위의 당헌개정 재추진은 우리당이 분 열없이 대통합신당으로 가는 길이다"며 "사수파의 기득권 지키기로 인한 당분열이 계속될 경우 같이 갈수 없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탈당을 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내달 중순쯤 개헌안을 발의할 예정이며, 열린우리당 선도탈당파 의원들은 고건 전 총리의 대선불출마 선언으로 연대할 구체적 대상이 없어진 상태이다. 이처럼 정국이 요동치는 상황이고 탈당파들이 내세울 탈당 명분 또한 국민적 공감을 크게 얻기 어려울 수 있어 일단 전당대회를 지켜보자는 쪽에 힘이 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점점 더 분명해 지고 있는 것은 전당대회 이전에 전당대회 및 당헌 개정에 대한 마찰로 인하여 사수파와 신당파 사이에 깊은 골이 생겨 일부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탈당을 할 것이며, 이로 인해 열린우리당 자체가 국민들의 관심 밖으로  벗어날 경우 열린우리당은 스스로 분열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는 것이다. 대선은 이제 카운트다운이 들어간 상태이며 야당 측은 높은 지지율로 날개를 달고 바쁜 행보를 하고 있는 가운데 여당측은 길 잃은 배처럼 기우뚱거리는 현 상황을 통합신당파라는 새로운 배로 갈아탈 것인지, 낡은 배를 새롭고 고쳐 앞으로 나갈 것인지 빠른 결정만이 국민들의 관심 밖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