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문재인-친박’ 적과의 동침?
‘문재인-친박’ 적과의 동침?
  • 안병욱 기자
  • 승인 2015.08.03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강타임즈]청와대발 노동개혁에 이어 정치권에선 정치개혁 공방이 치열하다. 새누리당의 ‘여․야

▲ 안병욱/발행인

함께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에 새정치민주연합의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맞붙어 한치 양보없는 설전이 이어지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정치개혁의 요소보다는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권의 선거제도 개편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

‘오픈프라이머리’란 대통령 등의 공직 후보를 선발할 때 일반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선출하는 방식으로, 국민에게 인기 있고 명망 있는 인물을 후보로 영입하는 데 유리한 제도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란 전국을 몇 개의 권역으로 나눠 인구 비례에 따라 권역별 의석수를 먼저 배정한 뒤, 그 의석을 정당투표 득표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달 13일 취임 1주년에 즈음해 본격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들고 나왔다. 심지어 김 대표는 ‘여․야가 함께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며 본격적인 선거제도 개편의 신호탄을 올렸다.

이에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권역별비례대표제는 우리 정치의 망국병을 치유하기 위해 중앙선관위가 제안한 방안”이라며 ‘권역별비례대표제’로 김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 맞대응에 나섰다.

이처럼 여․야가 선거제도 개편 전면전에 나서며 정가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표와 새누리당 친박진영이 연합전선을 펼치는 것 이나냐’는 웃지 못할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은 결국 친박계의 몰락이라는 시각에서다. 집권 3년차를 맞아 사사건건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에 딴지를 걸었던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인해 청와대와 친박계가 여권내 주도권을 잡았지만 김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가 가시화 될 경우 친박계로선 어려워질 수 박에 없는 현실.

이에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김 대표의 줄기찬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은 곧장 찬박계의 공천권 무력화를 노린 정치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런 형국에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반대를 외치며 오히려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 친박계로서는 ‘아연실색’ 반가울 수 밖에 없는 형편.

당장 새정치연합의 요구대로 ‘권역별비례대표제’가 이뤄질 경우 친박진영으로선 운신의 폭이 넓어지는 것은 물론 비박진영이 점령한(?) 지도부 탈환도 노려볼 만 하다는 게 정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새누리당이 이처럼 복잡한 셈법으로 이번 선거제도 개편에 나선것과 마찬가지로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도 내심 복잡하긴 매 한가지 인 듯 하다. 

문 대표 역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시에는 호남권을 중심으로 짙게 드리워진 ‘비노진영’의 그림자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 자칫 내년 총선이후 친노진영이 비주류세력으로 전락할 위험성도 농후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 새정치연합 한 관계자는 “(비노진영이)분당이라는 극단적인 방법보다는 내년 총선에서 대표선수를 많이 배출, 호남권과 수도권을 (비노진영이)장악할 경우 주류와 비주류가 뒤집히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또한 새정치연합으로서는 당내 계파별 함수 이외에도 ‘오픈프라이머리’로서는 현재의 ‘여대야소’ 구도를 깨지 힘든 만큼 최소한 야권연대로 ‘여소야대’ 구도도 가능한 ‘권역별비례대표제’에 당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국 최근 정치권에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선거제도 개편은 여․야 할것없이 서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정치적 힘겨루기라는 지적이다. 여기에 각 진영의 주도권 쟁탈전까지 더해져 ‘문재인-친박’이라는 웃지 못할 정치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

한편 국회 정개특위 한 관계자는 최근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비례대표제’를 맞교환하는 ‘빅딜’ 가능성을 언급해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권의 선거제도 개편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당과 야당, 또 여․야 속 각 진영의 셈법이 총망라 된 정치권의 선거제도 개편에 세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