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인터뷰]송강호...'사도' 우리가 본 적 없는 또 다른 표정!!
[인터뷰]송강호...'사도' 우리가 본 적 없는 또 다른 표정!!
  • 박지은 기자
  • 승인 2015.09.20 08: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강타임즈]. 송강호(48). 최고의 배우라는 수식어보다는 이제 '대배우'라는 말이 더 어울리게 된 그가 결국 영조를 맡았다.

과연 영화 '사도'에서 송강호는 그 다운 연기를 보여준다. 수많은 작품에서 얼굴을 봐왔지만, 그는 '사도'에서 우리가 전에 본 적 없는 또 다른 표정을 보여준다. 생존을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내며 삶을 하얗게 불태웠지만, 결국 자신이 가질 수 없는 것을 생각하고(思), 분노하며 악다구니를 부리다가 슬퍼하는(悼) 인간을, 송강호는 표현해냈다.

영화 '사도', 어떤 촬영이었나.

"이준익 감독은 할리우드 스타일이다.(웃음) 딱 정해진 콘티와 시스템으로 그냥 쭉쭉 밀고 나간다. 배우들이 완벽하게 준비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다."

'사도'를 위해 최덕문과 함께 합숙 훈련을 했다고 말해 화제가 됐다.

"(웃음)그게 참…그렇게 됐다. 아까 말했듯이 이준익 감독 스타일 문제도 있고. 그 스타일도 스타일이지만 내가 현장에서 연기할 때 스스로 스탠바이가 안 된 상태에서…그게 두려운 거다. 영조는 어마어마한 캐릭터니까. 비밀로 갔다.(웃음) 두어 번."

당신이 연기할 때 두려워하는 게 있었다니.

"준비가 필요한 거다. 예를 들면, '변호인'할 때 법정 장면이 있지 않나. 그 장면 촬영하기 전 5일 전부터 이미 준비에 들어갔다. 그렇게 미리 준비했기 때문에 공판 장면이 지체 없이 쭉쭉 나갈 수 있었다. 그 때는 연기적인 점검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긴 대사와 어려운 단어들이 많아서 연습을 해야 했다."

그렇다면 '사도'는 어땠나.

"'변호인'과는 조금 다르다. 영조라는 캐릭터에 대해 낯섦이 있었다. 이 캐릭터를 받아들이려면 내가 스스로 시도를 해봐야 한다. '이렇게 하니까 이런 느낌이구나' 혹은 '이건 아니고, 이건 맞구나' 이런 점검이 필요한 거다. '변호인'과 '사도'는 그런 점에서 준비하는 방식이 다르면서 비슷했다."

모든 작품을 그렇게 준비하지는 않을 것 같다.

"텍스트가 중요한 작품, 가령 '사도' '변호인' '밀양' '박쥐' 이런 영화들은 텍스트의 견고함을 제대로 표현해야 한다. 그게 영화를 살리는 거다. 반대로 현장성을 살려야 하는 작품도 있다. '살인의 추억'이나 '우아한 세계' '놈놈놈' 같은 영화들이다. 작품 특성에 맞게 준비하는 거다. 나만 그런 게 아니다. 다른 배우들도 마찬가지다."

이준익 감독이 요구한 특정한 영조의 모습이 있었나. 그런 지점에서 당신이 생각했던 영조와 이준익 감독이 요구한 영조의 모습이 달랐던 부분이 있었는지도 궁금하다.

"거의 비슷했다. 감독은 구체적으로 영조의 이런 모습, 저런 모습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주문하지 않는다. 그런 건 주문한다고 나오는 게 아니다. 자연발생적으로 나온다. 그런 걸 주문하는 건 앞뒤가 안 맞는 거다. 영조의 기본적인 모습들은 시나리오에 이미 구축돼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나는 영조를 입체적으로 만들어나간다(송강호는 이 말을 하면서 찰흙으로 뭔가를 만들어나가는 듯한 손동작을 보였다). 그걸 지켜보고 판단하는 건 감독의 몫이다. 역할 분담이라고 할까. 그런 것이다."

 

   
   
▲ <사진 뉴시스>

'사도'에서 영조의 모습은 우리가 흔히 아는 왕의 말투나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있었다. 예를 들면 "너 왜 웃니?" 이런 대사 말이다.(웃음)

"그런 말투는 실제 사료를 보면 그렇게 나온다. 영화에 영조와 사도세자가 '일 년에 공부하고 싶은 생각이 몇 번 드니?' '일 년에 한, 두 번 드옵니다'라는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지 않나. 실제 영조와 사도세자의 대화다. 이렇듯 '사도'의 대사는 팩트를 충실히 반영했다. TV 드라마로 인해 알게 모르게 왕의 말투라는 것이 세뇌된 부분이 있다. 왕도 인간이다. 신하에게 권력의 위엄을 보여줄 때와 가족과 대화할 때는 말투가 달랐을 것이다."

이런 부분 또한 '사도'가 주는 새로움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 이준익이 '사도'를 만드는 태도 중 놀라운 게 그런 거다. 이준익은 새로움을 단순히 새로운 소재를 가져오는 데서 찾는 게 아니라 관점, 시선,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철학을 달리해서 만들어낸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관객이 숱하게 봐왔다고는 하지만 이런 태도는 또 처음이지 않나."

그렇다면 당신이 생각한 영조는 어떤 사람인가. 어떤 시점, 어떤 태도로 영조를 봤나.

"외롭게 산 분이 아닐까 한다. 영화 속에는 권력자의 모습이 있지만, 그분이 그렇게 악착같이 손에 쥐고 싶었던 것은 왕권의 정통성이었을 것이다. 태생적인 콤플렉스, 신하들의 끊임없는 도전을 극복해야 했으니 그분의 내적 고통은 사실 상상이 잘 안 된다. 그 고통의 발로가 아들을 향한 집착으로 나타났을 것 같다. 아들만큼은 외롭게 살지 않았으면 하는 영조의 마음이 비극의 씨앗이 되지 않았을까. 이것이 '사도'에서 영조를 해석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

당신의 말만 들어도 연기하기 쉽지 않은 캐릭터라는 느낌이 온다. 고민 혹은 부담이 없을 수는 없었겠다.

"부담이 왜 없었겠나. 하지만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새로운 관점, 정공법적인 이야기인데다 무엇보다도 매혹적이었다."

'매혹적이었다'는 것, 그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영조의 변화무쌍한 복합적인 심리가 참 궁금했다. 탐구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도대체 어떤 분이길래 이런 감정을 가지고 있었을까. 지금까지 보지 못 했던 임금의 모습이다. 고통과 고뇌가 깔려있는 인물, 그게 매혹적이었다."

'사도'에서의 연기 중 한 가지를 꼭 짚고 넘어가고 싶다. 바로 목소리다. 이전의 작품에서 당신은 목소리 톤을 높이거나 낮춘 적은 있었지만, '사도'에서처럼 의도적으로 소리를 왜곡한 적은 없었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서는 쇳소리 비슷한 목소리를 내더라. 이유가 뭔가.

"나는 칠십대 노인을 연기했다. 특수분장만으로는 표현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그렇다고 해서 영조가 노인네이기 때문에, 그 이유 하나 때문에 목소리에 변화를 준 것은 아니다. 그 목소리에 영조의 고단한 인생, 고통스러웠던 칠십 평생이 담기길 바랐다. 또 군주, 정치가, 아비로서의 모습이 모두 담기길 바랐다. 단순히 노인네의 목소리, 물리적으로 나이가 많은 사람의 목소리라서 그런 소리를 낸 건 아니다. 언어는 그만큼 중요하다. 가장 중요하다. 그렇지 않나. 그런데…목소리 말고도 걸음걸이나 디테일에 신경을 많이 썼는데…잘 안보였나.(웃음)"

어찌 됐건 무시무시한 연기였다.(웃음) '송강호가 아니면 누가 '사도'의 영조를 연기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다른 배우가 했어도 잘했을 거다."

기분 좋으라고 하는 말이 아니다. 겸손할 필요 없다. 사실이 그렇지 않나.

"음…내 영조 연기가 낯설 수 있다. 하지만 배우는 뻔뻔해야 한다. 관객도 낯설어할 텐데 나도 낯설게 할 수는 없다. 낯설어도, 이상해도 그게 맞다고 생각하면 가야 한다. 물론 그렇게 하면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 그 책임은 배우도 져야 하고, 감독도 져야 한다. 하지만 그게 예술가의 근본적인 모습이다."

조금 질문을 바꿔보자. 당신이 영조 역에 왜 캐스팅됐다고 보나.

"글쎄…이준익 감독이 사석에서 재미난 이야기를 했다. 왜 송강호와 유아인이냐는 말에 이준익 감독이 '송강호는 분명히 변화구를 던질 거란 말이지. 저 현란한 변화구를 받아줄 사람은 유아인밖에 없다'라고 답했던 게 기억난다. 정말 재밌지 않나. 이준익 감독이 왜 그렇게 말한 건지는 물어보지 않아서 아직 모른다. 이준익 감독은 내가 왜 변화구를 던질 거로 생각했을까.(웃음) 난 직구를 던지려고 했는데.(웃음) 아무튼 이준익 감독의 말은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그러면 유아인이 포수라는 건가. 아니면 이준익 감독이 포수인가. 내가 어떤 변화구를 던질지는 알고 있었을까. 커브? 체인지업?(웃음)"

직구를 던지려고 했다는 건 무슨 의미인가.

"말이 그렇다는 거다.(웃음) 음…직구 같은 연기가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은 정공법 아닌가. 화려한 기교가 아닌 정직함이다. 그래서 나도 정통으로 돌직구를 던지려고 했던 것, 그런 의미일 것 같다. 이준익 감독 만나면 꼭 그 표현에 대해서 물어볼 것이다."

(송강호는 직구와 변화구 이야기를 한참 이어갔다. 송강호는 야구에 꽤나 관심이 있어 보였다)선문답 같다. 이번 영화, 이준익 감독이나 유아인보다는 결국 당신의 연기를 기대하는 관객이 훨씬 많을 것이다. 실제로 그런 위치에 있는 배우이니까. 어떤가. 기대를 받는 느낌이.

"감사한 일이다. 나를 향한 격려라고 생각한다. 나는 늘 똑같다. 늘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난 일개 배우다. 물론 부담감이 있다. 후배가 많아졌고, 이십여 년 동안 내 연기를 봐준 팬도 많아졌다. 하지만 그 부담감이 곧 큰 힘이다. 부족하다. 그러나 최선을 다할 것이다. 항상 감사하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한강타임즈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정기후원인이 되어주세요.

매체명 : 한강타임즈
연락처 : 02-777-0003
은행계좌 : 우리은행 1005-702-873401
예금주명 : 주식회사 한강미디어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